현재 주정차 위반을 하게 되면 승용차 기준으로 4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의외로 주정차에 대한 개념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이런 분들을 위해서 주정차 단속 문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즉, 자신의 차량이 주정차 위반을 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안 그래도 비싼 차를 산다고 할부 결제를 했는데, 주정차 위반으로 과태료까지 내게 된다면 돈이 모이지가 않습니다. 문자 알림 서비스를 이용해서 자신의 지갑을 보호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특별단속구역에서는 8만 원이고,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12만 원을 내야 하기 때문에 불법 주정차에 대한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서비스 신청방법
1. 위즈샷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 접속
2. 상단 > 서비스 신청하기 클릭
3. 지역별 온라인 신청 클릭
4.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클릭
5. 문자 알림 신청 진행
우선, 주정차 단속 문자 알림 서비스를 검색하면 어디에서 해야 하는지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간단하게 개요를 설명드리면, IMCT라는 회사에서 문자 알림 서비스인 위즈샷 소프트웨어 제품을 만들어서 각 지역자치단체와 거래를 했습니다.
- 예를 들어, 서울 강서구청에서 이 소프트웨어 제품을 구매해서 설치를 했고, 주정차 단속 CCTV와 연동을 해서 시민들에게 알려주는 것이죠.
지역별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를 신청할 때도 지역별로 신청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 강서구청을 선택하고 신청하게 되면, 서울 강서구청 내에서만 문자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지역에서 주정차 위반을 했다고 해서 문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본인의 주 활동지역이 여러 군데라면, 여러 곳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하는 분들에 한해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팩스와 이메일로 신청하는 방법도 있지만 우리는 이제 간편하게 인터넷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으로 신청을 하자고요. 위 5단계를 거치면 문자 알림을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도 동일한데, 앱 공식 명칭은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 통합가입 도우미"입니다.
- 인터넷이나 모바일 앱으로 신청을 하면, 그 즉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주의사항
- 차량 1대당 휴대폰 번호 1개만 신청 가능합니다.
- 휴대폰 번호를 변경하셨으면 문자 알림 서비스에서도 변경해줘야 합니다.
알림 문자 후 몇 분 뒤에 과태료 부과될까?
- 고정 CCTV의 경우 문자 알림 후에 5~7분 뒤에도 차량을 이동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이동 CCTV의 경우 7분 간격으로 3회 단속을 하는데, 3번째에도 차량을 이동하지 않았다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주정차 위반 기준
각 지역별로 위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단속 알림 서비스도 각 지역별로 운영을 하는 것 같습니다. 위반 기준은 교통법 기준으로 황색 복선이나 황색실선은 주정차가 금지되어있는데, 위반 시간이 지역별로 다르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평일과 주말이 다르고, 중앙로터리이냐 동지역이냐 읍면지역이냐에 따라서도 단속 운영시간이 다릅니다.
- 대표 지역별 주정차 위반 기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더보기]
자동차세 조회 하는 방법(ft.미리 계산하기)
자동차세를 조회하는 목적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신차 또는 중고차를 구매할 때 세금이 얼마 나올지 계산하기 위해서이고, 둘째는 미납된 자동차세를 조회하기 위해서이고, 셋째는
dkdnt12.tistory.com
위택스 자동차세 납부 방법(ft.빨리 끝내자)
자동차를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의무적으로 자동차세를 내야 합니다. 그런데, 이에 대한 안내를 받지 못했거나 고지서가 우편으로 날아오지 않았다면 깜빡하고 납부를 못할 수도 있습니다. 심
dkdnt12.tistory.com
자동차등록증 재발급 방법 3가지(인터넷 + 방문)
자동차 등록증이 어디 있는지 제대로 아시는 분들이 몇 없을 겁니다. 그만큼 이용 빈도수가 낮지만, 자동차 수리, 리콜 정비, 정기점사 등을 할 때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필요서류이기 때문에 그
dkdnt12.tistory.com
자동차세 연납신청 알아보기(ft. 2021년 납부기간)
요즘에는 자동차가 없는 사람이 없습니다. 거의 가구당 1대꼴은 있다 해도 무방한데, 항상 변하지 않는 사실이 있으니 바로 자동차세를 내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세금을 내는 시기가 다가오면
dkdnt12.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