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득이한 회사 사정으로 퇴사를 하게 되었고,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 수많은 제도들을 공부하게 되었는데, 그중에서 이직확인서라는 것이 필요했다. 단순히 종이 쪼가리일 줄만 알았는데, 공식문서라고 한다. 이직확인서를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는지 오늘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이전 회사에 직접 연락하는 것이 힘든 사람들은 집중해서 보기 바란다.

 

 

 

참고로, 이직확인서는 실업급여를 신청할 때만 사용하는 문서인데, 어떤 직원이 자발적으로 퇴사를 해놓고 이직확인서를 요청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이직확인서를 담당하는 인사 직원들은 그 퇴사한 직원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요청이 오면 10일 이내로 발급을 해줘야 한다. 

  • 법으로 명시가 되어 있는 부분이다.
  • 이직확인서를 발급받았다는 전제하에 아래 설명을 보기 바란다.

 

이직확인서 확인방법 목차
이직확인서 확인방법 목차

 

모바일 확인 방법

1. 고용보험 앱 접속

2. 인증서 로그인

3. 우측 > 메뉴 삼선 클릭

4. 개인서비스 >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위 4단계를 거치면 스마트폰 앱으로 언제든지 이직확인서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전 회사에서 이직확인서를 발급했을 경우에만 조회가 가능하다.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컴퓨터 인터넷으로도 확인이 가능한데, 고용보험 사이트에 접속해서 위 경로와 유사하게 접속을 하면 된다.

  • 앞서 얘기한 대로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 이전 회사에 이직확인서를 요청을 해야 한다.

 

 

 

이직확인서 요청하는 방법

1. 고용보험 사이트 접속

2. 검색창 >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 검색

3. 게시판 검색 >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 클릭

4. 다운로드 후 항목 입력

5. 사업주에게 이메일 또는 우편 송부

6. 10일 이내로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확인

 

위 경로 또는 아래 첨부파일로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를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이 문서로 당당하게 이직확인서를 요청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이직확인서를 발급해달라고 요청하는 절차가 굉장히 공식적인 줄 알았는데, 문서만 작성해서 이메일로 보내버리니까 굉장히 간단하더라고요. 사업주가 이메일을 받지 못해서 처리를 못했다는 말을 못 하도록 이메일 송부 내역도 미리 캡처를 해놓습니다.

  • 만약에 위 방법대로 하는 것이 어려우신 경우라면, 고용센터에 방문해서 도움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 고용센터에서도 기관의 직권으로 이직확인서를 요청할 수 있고, 사업주는 10일 이내로 발급을 해줘야 합니다.
  • 발급 요청에 불응할 때에는 1차 불응 시 10만 원, 2차 불응 시 20만 원, 3차 불응 시 3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별지 75호의3 서식(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hwp
0.06MB

 

 

실업급여 절차

1. 사업주에게 이직확인서 요청

2. 사업주는 고용센터에 이직확인서 제출

3. 실업자는 고용센터에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

4. 고용센터에서 실업급여 수급자격 심사

 

실업급여는 계약이 만료되거나 회사가 망했을 때 실직한 근로자들이 더 나은 취업자리를 마련할 수 있도록 생계적으로 지원해주는 급여입니다. 나라에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전 회사에서 퇴사한 사유가 비자발적이어야 하는데, 그것을 명확하게 증명하기 위해서 이직확인서가 필요한 것입니다.

  • 회사가 망해서 문을 닫았어도 이직확인서는 발급해줘야 합니다.

[관련 글 더보기]

 

더 나은 이직을 위한 꿀팁 방출

이직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는 한 가지 걱정거리가 있습니다. 바로, 현재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지입니다. 실제로 이직을 통해서 더 나은 삶을 살고 있다는 사람의 비율이 극히 적은데요.

dkdnt12.tistory.com

 

미수령 환급금 조회하는 방법(ft. 홈택스, 손택스)

미수령 환급금이라는 것은 내가 환급받을 수 있는 세금을 얘기합니다. 우리 개인이 벌어들이는 소득에 대해서 나라에서는 세금을 걷어가는데요. 그런데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냐에 따라서 거둬

dkdnt12.tistory.com

 

건보료 조회 위한 확인방법(ft. 건강보험공단)

5차 재난지원금을 포함해서 3차, 4차가 진행되었을 때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지급 대상자가 결정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많은 분들이 건강보험료를 조회해서 내가 대상자인지 확인을 해야 하

dkdnt12.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