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25만 원을 지급하는 5차 재난지원금 대상자로 소득 하위 88%까지 지급하겠다는 정부의 결정이 내려지면서 모든 사람들이 소득 하위 퍼센트에 대한 궁금증이 폭발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소득 하위 90% 기준금액에 대한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이유는 88%라는 수치가 굉장히 애매하기 때문입니다. 왜 그런지 자세히 알아보시죠.
소득 하위 90%란?
국민들의 소득을 조사해서 소득이 가장 낮은 순으로 나열을 했을 때 90% 범위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소득 하위가 중요한 이유는 이런 국가 재난에 따른 지원금을 지급하고자 할 때, 경제적으로 어려우신 분들이 누구인지 명확하게 확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소득 하위 88% 기준
5차 재난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2가지 기준으로 분류가 됩니다. 첫째는 소득 하위 88%가 적용되는 대상자들인데요. 1인 가구는 연 소득이 약 5천만 원 이하인 분들이 받을 수 있고, 맞벌이 가구는 소득 하위 80% 기준에서 1명을 추가한 기준 이하인 분들이 받을 수 있습니다.
- 둘째는 소득 하위 80%가 적용되는 대상자인데요. 위 사항을 제외한 모든 분들은 소득 하위 80%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소득으로 따지기 어렵다면 건강보험료로 환산하자
1인 가구는 연소득이 약 5천만 원 이하이신 분들이 재난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소득은 대략적인 수치이기 때문에 정확할 수 없어서 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로 환산을 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연소득 약 5천만 원 건강보험료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장 가입자는 14만 3,900원 이하, 지역 가입자는 13만 6,300원 이하입니다. 소득 하위 80%가 기준이었을 때는 연소득 4천만 원에 해당하는 건강보험료 금액으로 기준을 잡았어야 했는데, 88%가 되면서 기준이 더 올라갔죠.
- 소득 하위 퍼센트가 올라갈수록 기준이 더 올라가서 더 많은 사람들이 재난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소득 하위 90%가 중요한 이유?
소득 하위를 얘기할 때는 88%라는 숫자로 얘기하지 않습니다. 보통 70, 80, 90으로 나누는데요. 왜냐하면 건강보험료로 환산을 해야 하는데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70, 80, 90과 같은 숫자로 이미 건강보험료 표가 나와있습니다. 88은 그 중간 어딘가에 있습니다. 계산하기가 무척 어렵죠.
- 소득 하위 88%는 90%와 가깝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기준을 알 수가 있습니다.
[관련 글 더보기]